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현대인의 위험, 엉덩이 기억상실증이란 무엇일까?

by 천백이 2025. 7. 11.
반응형

photos related to hip muscle deficiency

 

엉덩이 기억상실증은 앉아 있는 시간이 많은 현대인에게 자주 발생하는 근육 기능 저하 증상으로, 의학적으로는 ‘둔근 기억상실증(Gluteal Amnesia)’ 또는 ‘Dead Butt Syndrome’이라 불립니다. 이는 엉덩이 근육, 특히 대둔근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해 몸의 움직임과 자세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상태입니다. 장시간 앉아 있는 생활 습관으로 인해 엉덩이 근육이 비활성화되면, 걷기나 일어설 때 허리, 무릎, 햄스트링 등 다른 부위가 과도하게 부담을 지게 됩니다. 본문에서는 엉덩이 기억상실증의 원인, 증상, 진단, 그리고 회복을 위한 운동 및 예방 방법을 소개합니다.

 

반응형

엉덩이 기억상실증의 원인과 주요 증상

이 증후군의 주된 원인은 앉아 있는 시간이 많은 좌식 생활입니다. 특히 장시간 책상에 앉아 일하는 직장인, 장거리 운전사, 학생 등에게 흔히 발생합니다. 엉덩이 근육이 오랜 시간 수축된 상태로 유지되면 신경 자극 전달이 둔화되고, 결국 대둔근이 비활성화됩니다. 이로 인해 신체는 엉덩이 대신 다른 근육(햄스트링, 허리근육 등)을 과하게 사용하게 되어, 다음과 같은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걷거나 계단을 오를 때 엉덩이에 힘이 들어가지 않는 느낌
  • 하체 운동 시 허벅지나 허리에만 통증이 집중됨
  • 허리 통증 및 무릎 통증의 만성화
  • 한쪽 엉덩이 근육만 발달하거나 비대칭적인 체형
  • 자세 불균형 또는 골반의 기울어짐

이 증상이 장기화되면 요추 불안정, 좌골신경 자극, 고관절 통증 등 2차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진단 방법과 자가 점검

엉덩이 기억상실증은 영상 검사보다는 기능적 평가로 진단됩니다. 병원에서는 물리치료사나 스포츠의학 전문가가 자세 분석, 근육 활성도 측정, 보행 분석 등을 통해 평가합니다. 간단한 자가 점검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테스트가 있습니다.

  1. 브릿지 테스트: 바닥에 누운 상태에서 무릎을 세우고 엉덩이를 들어올릴 때, 엉덩이 대신 허벅지 뒤쪽이나 허리에 통증이 집중된다면 둔근 비활성화 가능성이 있습니다.
  2. 스탠딩 킥백 테스트: 선 자세에서 다리를 뒤로 들어올릴 때, 엉덩이에 힘이 들어가지 않고 허리에 통증이 느껴진다면 문제 소견입니다.

단순 근육통과 달리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증상이 있으며, 근력 저하와 자세 이상이 동반되는 경우 전문 진단이 필요합니다.

회복 운동 및 예방 방법

엉덩이 기억상실증은 꾸준한 스트레칭과 근력 강화 운동을 통해 회복이 가능합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엉덩이 근육의 재활성화입니다. 다음은 대표적인 운동 및 관리법입니다.

  • 클램셸 운동: 옆으로 누운 상태에서 무릎을 구부리고, 발을 붙인 채 무릎을 벌리는 운동. 중둔근 활성화에 효과적입니다.
  • 힙 브릿지: 등을 대고 누워 무릎을 세우고 엉덩이를 들어올리는 운동. 대둔근과 햄스트링 강화에 좋습니다.
  • 힙 쓰러스트: 벤치에 등을 대고 앉아 엉덩이를 위로 밀어올리는 동작으로, 고중량 엉덩이 강화 운동입니다.
  • 장시간 앉아 있을 때 1시간에 1번 이상 일어나 스트레칭하기
  • 의식적으로 걷기나 계단 오르기 시 엉덩이에 힘주기

예방을 위해서는 일상생활 속에서 앉는 자세를 바르게 유지하고, 운동 전후에는 엉덩이와 고관절 스트레칭을 병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장시간 앉아 있을 경우 높낮이가 조절되는 책상이나 쿠션을 활용하여 골반과 엉덩이에 부담을 줄이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엉덩이 기억상실증은 단순한 근육 약화가 아닌 전신 체형과 통증의 시작점이 될 수 있는 상태입니다. 특히 좌식 생활이 많은 현대인이라면, 지금이라도 자신의 엉덩이 근육 상태를 점검하고 꾸준한 관리로 기능을 회복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건강한 자세와 균형 잡힌 근육 사용은 통증 없는 삶의 기본이 됩니다.

반응형